출근길 지하철역을 걸어가는데 식당이 새로 오픈을 했습니다
전에는 디저트 카페였는데 지금도 음식을 파는건 맞는데 다른거 같습니다
저녁때 모임도 하고 함께 스포츠 응원도 하는거 같습니다
식당이 예쁘게 꾸며져 있는데 할로윈데이라고 써 있네요
어릴때부터 익숙하고 잘 모르는 할로윈
요즘 어린 친구들은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챙기는거 같은데 잘 모르겠더라구요
할로윈 데이는 고대 켈트족의 축제인 *사윈(Samhain)*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사윈은 매년 10월 31일에 열렸으며, 여름이 끝나고 겨울이 시작되는 시기이자 한 해의 마지막 날로 여겨졌습니다.
켈트족은 이날이 죽은 자의 영혼이 이승으로 돌아오는 날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악령을 쫓기 위해 무서운 가면을 쓰거나 불을 피우며 의식을 치렀습니다.
이후 기독교가 퍼지면서 사윈 축제가 '모든 성인의 날(All Saints' Day)' 전야제인 할로윈으로 변형되었고, 미국으로 전해지면서 현대적인 축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어요.
오늘날 할로윈은 주로 코스튬 파티, 사탕 나눠주기(트릭 오어 트릿), 호박 조각 등 재미와 장난이 결합된 문화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회사 건물에 있는 카페에 가니 카페도 할로윈으로 꾸며져있네요
할로윈과 호박은 어떤 의미가 있는걸까요?
꾸며져 있는곳에는 항상 호박모양으로 꾸며져 있더라구요
할로윈데이와 호박은 깊은 연관이 있죠! 할로윈이 다가오면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호박들이 곳곳에서 장식으로 사용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잭 오 랜턴'입니다. 잭 오 랜턴은 호박을 파서 안에 초를 넣고 얼굴 모양을 새기는 전통으로, 악령을 쫓기 위한 풍습에서 유래되었어요.
할로윈데이에 호박을 사용하는 이유는 본래 서양의 전설과 민속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잭 오 랜턴의 유래도 아일랜드의 전설에서 왔고, 할로윈이 미국으로 전파되면서 이 풍습이 정착했죠. 원래 아일랜드에서는 순무나 비트를 사용했으나, 미국에서는 더 쉽게 구할 수 있는 호박으로 바뀌었습니다.
또한, 가을은 호박 수확의 시기이기도 해서 할로윈 장식과 요리에도 활용되곤 합니다. 호박 파이, 호박 수프 등 가을과 어울리는 음식들도 많은 인기를 끌어요.
할로윈데이 코스튬은 매년 창의적이고 다채로운 모습으로 변화를 보여 주죠.
요즘에는 단순한 귀신, 마녀 같은 전통적 테마를 넘어서, 영화나 드라마 캐릭터, 유명한 애니메이션 속 인물, 혹은 신문에서 볼 법한 인물들의 코스튬까지 등장합니다.
다음과 같은 다양한 스타일의 할로윈 코스튬 아이디어가 인기를 끌고 있어요.
전통적 테마: 고전적인 유령, 마녀, 뱀파이어, 늑대인간 같은 전통 할로윈 캐릭터는 여전히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습니다.
여기에 섬세한 메이크업이나 특수 효과를 더해 공포 분위기를 극대화할 수 있어요.
영화와 TV 캐릭터: 인기 있는 영화나 시리즈 캐릭터를 모티브로 한 코스튬이 매년 큰 인기를 끕니다.
예를 들어, 마블 히어로나 디즈니 캐릭터, 또는 호러 영화 속 인물들이 좋은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올해 인기작이나 유행 중인 캐릭터는 특히 주목받을 수 있어요.
재미있는 패러디와 밈: 유머와 창의성을 더해 인터넷에서 인기 있는 밈이나 패러디를 할로윈 코스튬으로 표현하는 사람들도 많아요. 이렇게 하면 독창적인 웃음을 줄 수 있어, 친구들 사이에서도 주목받기 좋습니다.
동물 코스튬: 귀여운 동물 코스튬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어요. 고양이, 강아지 같은 간단한 동물 분장은 물론, 판다, 사자, 여우와 같은 동물 코스튬도 인기입니다.
DIY 아이디어: 요즘은 직접 만드는 DIY 코스튬이 인기인데,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로 개성 있는 코스튬을 만들어서, 자신의 스타일을 보여줄 수 있어요.